베이지안 정리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용어정리] ML(Maximum Likelihood) vs MAP(Maximum A Posterior) 계기 NLP 를 엉성하게 접하면, transformer 기반 모델과 huggingface 만으로도 어찌저찌 살아갈 수 있다. 하지만 논문을 자주 읽다보면, 확률과 통계, 수식 등 근본적인 이해가 필요할 때가 반드시 온다. 매번 헷갈리는 개념이라서 차라리 예시를 암기하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되겠다 싶어서 좋은 예시를 발견한 찰나에 정리해두기로 했다. 예시를 통한 이해 머리카락 길이로 성별 맞추기 ML(Maximum Likelihood), MAP(Maximum A Posterior) 에 대한 정의를 이야기 하기 전, 예시를 통해 접근해보자. 당신은 머리카락 길이만 보고도 성별을 맞추는 퀴즈쇼에 나갔다. 편의를 위해 머리카락 길이를 z, 성별을 x 라고 표기하자. 예컨대, 당신은 머리카락 길이(z)가 20cm .. 이전 1 다음